GitHub Pages 도메인 네임 설정 하기
서론
GitHub Pages를 사용하여 사이트를 운영하게되면 기본적으로 .github.io 도메인 네임을 받게된다. 예를들어 GitHub의 아이디가 saltfactory라면 http://saltfactory.github.io 로 만들어지게된다. 이 도메인네임도 꽤 쓸만하지만 대부분 특별한 도메인네임을 사용하고 싶어한다. 예를들어 현재 이 블로그가 GitHub Pages로 만들어졌고 도메인네임을 http://blog.saltfactory.net 로 만들어진것 처럼 말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Hub Pages에서 사이트를 운영할때 도메인네임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GitHub Pages의 종류
GitHub Pages는 GitHub의 저장소를 웹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는 웹 디렉토리로 만들어주는 서비스인데 GitHub Pages의 종류는 크게 두가지이다.
- 개인 사이트 GitHub Pages
- 프로젝트 사이트 GitHub Pages
개인 사이트는 GitHub에 가입한 계정의 이름에 .github.io라는 저장소를 만들게되면 자동으로 개인 사이트를 위한 GitHub Pages를 만들 수 있는 서비스이다. 다시 말해 saltfactory라는 GitHub Pages 계정이 있으면 저장소에 saltfactory.github.io라고 만들면 http://saltfactory.github.io 라는 개인 사이트 GitHub Pages 를 위한 만들 수 있다. 이 때 주의 해야할 점은 이 사이트의 저장소를 브랜치는 master에서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프로젝트 사이트는 GitHub에 등록한 프로젝트별 사이트를 자동으로 만들 수 있도록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한가지 주의해야할 점은 이 사이트의 저장소를 위한 브랜치가 gh-pages라는 브랜치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프로젝트 사이트는 {github계정}.github.io/{프로젝트 저장소 이름}으로 만들어진다. 예를들어 saltfactory 계정으로 mark2html 저장소에 프로젝트를 만들었다면 이 프로젝트 사이트는 http://saltfactory.github.io/mark2html 으로 만들 수 있다.
도메인네임 등록
GitHub에서 제공하는 {계정}.github.io라는 도메인네임이 아닌 자신의 도메인네임을 사용하여 GitHub Pages를 접근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도메인 서비스에 도메인네임을 등록하는 것이다. 국내 대표적인 도메인 등록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개인적으로 사용하기 편한것을 사용하면 된다.
이 블로그는 가비아를 사용하여 도메인네임을 등록하여 GitHub Pages와 연결되어 있고 이 글에서 설명하는 방법은 가비아에서 설정하는 방법을 예로 보여줄 것이다. 하지만 꼭 가비아 서비스가 아니더라도 이 글에서 설명하는 개념은 어느 도메인 등록 서비스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GitHub의 DNS Provider IP 주소는 다음과 같다.
- 192.30.252.153
- 192.30.252.154
자신의 도메인네임의 호스트 설정에서 자신의 호스트 이름에 IP 주소를 위의 것 중에 하나로 입력한다.
CNAME 파일
GitHub Pages에서 도에인네임 설정은 GitHub Pages의 DSN Provider 의 IP 주소로 설정한 호스트이름의 별칭(alias)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이다.
GitHub Pages의 두가지 종류 중에 개인 사이트를 위한 도메인네임을 설정하자. 우리는 위에서 도메인네임 등록 서비스에서 GitHub Provider의 IP주소로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를 등록하였다. 이렇게 설정이 되면 브라우저에서 http://saltfactory.net을 입력하면 GitHub Provider에 접근하게 된다. 우리의 목표는 GitHub Provider에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개인 사이트를 위한 저장소에 접근하도록하는 것이다. GitHub는 GitHub Provider가 나의 저장소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 저장소 안에 CNAME파일을 사용한다.
이제 개인사이트를 위한 저장소의 master 브랜치의 디렉토리 안에 CNAME
파일을 만들어서 호스트 이름을 저장한다. https://github.com/saltfactory/saltfactory.github.io 저장소에 살펴보면 저장소 master 브랜치의 디렉토리 안에 CNAME 파일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파일은 도메인넴임 서비스에 등록할 때 사용한 호스트 이름을 저장하였다.
saltfactory.net
이제 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saltfactory.net 을 입력하면 GitHub Provider에 접근하여 끝나는 것이 아니라 GitHub Provider가 나의 개인 저장소인 https://github.com/saltfactory/saltfactory.github.io 까지 접근하여 개인 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볼 수 있다.
서브도메인 설정
만약 서브 도메인을 사용할 때는 저장소의 CNAME 파일과 도메인네임 서비스의 CNAME 레코드를 함께 설정해야한다.
예를 들어 http://saltfactory.net의 서브도메인으로 http://blog.saltfactory.net 을 만들고 싶다면 blog.saltfactory.net은 프로젝트 사이트를 위한 방법으로 만들어서 gh-pages 브랜치에 CNAME을 서브도메인으로 저장하여 추가한다. https://github.com/saltfactory/blog 저장소에 접근해보자.
블로그 운영을 위해 blog라는 프로젝트를 위한 저장소를 만들어서 gh-pages라는 브랜치를 만들었다. 그리고 CNAME 파일에 다음 내용을 저장하여 파일을 생성하였다.
blog.saltfactory.net
다음은 도메인서비스에 CNAME record에 별칭을 추가하는 것이다. 가비아에서는 다음과 같이 별칭과 값/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 별칭(alias) : blog
- 값/위치 : saltfactory.github.io.
이 때 주의해야할 점은 값/위치에 saltfactory.github.io. 마지막에 .
이 추가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결론
GitHub Pages로 사이트를 구축할 때 필요한 도메인네임 설정을 CNAME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GitHub Pages는 개인 사이트와 프로젝트 사이트를 만들 수 있는데 개인 사이트는 master 브랜치에서, 프로젝트 사이트는 gh-pages 사이트에서 CNAME 파일을 만들어야 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서브도메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칭을 사용해야하는 것을 살펴보았다. 도메인 등록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DNS를 구축하여 사용한다면 원리는 동일한다 CNAME을 설정해주는 곳에서 별칭을 추가하면 서브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게된다.
참고
- https://help.github.com/articles/setting-up-a-custom-domain-with-github-pages/